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타코마급 호위함

덤프버전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해군 군함
구잠함(PC)PC급 구잠함
초계함(PG)더뷰크급, 이리급
호위함(FF)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호위구축함(DE)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구축함(DD)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계획 1919 향도, 패러것급, 포터급, 머핸급,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벤슨급, 글리브스급, 플레처급,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
잠수함(SS)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경순양함(CL)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프로젝트 A, 프로젝트 CL-154급, 우스터급A
중순양함(CA)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프로젝트 CA-B,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대형순양함(CB)알래스카급, 프로젝트 CA2-D, 프로젝트 CA2-F
순양전함(CC)렉싱턴급
전함(BB)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최대 전함,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 콜로라도급, 사우스다코타급(1920), 노스캐롤라이나급, 프로젝트 1058, 사우스다코타급(1939), 아이오와급, 몬태나급
호위항공모함(CVE)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경항공모함(CVL)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정규항공모함(CV)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수상기모함(AV)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병원선(AH)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잠수함모함(AS)풀턴급
구축함모함(AD)딕시급
소해함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어뢰정PT 보트
공격수송함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연습항공모함울버린급, 세이블급
지휘함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기타 함선USS QUARTZ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UK: 영국으로부터 대여





운용국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해군 군함
초계함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호위함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구축함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갤런트급, 데어링급A
잠수함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모니터함로버츠급
경순양함C급(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넵튠급, 미노토어급(1947)
중순양함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서리급, 어드미럴급
순양전함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2·K3급, I3급
전함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정규항공모함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몰타급, 하버쿡
기타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 해군 함선
[ 펼치기 · 접기 ]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해군 함선
어뢰정Sh-4급, G-5급, D3급, PT 보트US
잠수정 / 함슈카급, 칼레브급노획, M급, A급, L급, P급, S급, D급, K급, 로니스급노획, 바르스급, L급UK, S급UK, U급UK, 퀘벡급C
호위함타코마급 호위함US
구축함노빅급(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쟈슬라프급, 피도니시급), 오피트니급, 프로젝트 흑해 1929년형, 그녜브니급, 스따라졔보이급, 레닌그라드급, 민스크급, 타슈켄트급, 프로젝트 30형, 키예프급, 프로젝트 35형, 프로젝트 36형, 프로젝트 37형, 프로젝트 40형, 프로젝트 24형
기뢰전함마르티급, 프로젝트 253L형
순양함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틀라나급, 차파예프급, 무르만스크급US, 팔라다급, 바가티르급, 프로젝트 28형, 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94형, 소형 경순양함
모니터함SB-37급(제례즈냐코프급), 하산급
군수지원/구난함콤무나
순양전함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전함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프로젝트 21형, 프로젝트 A형, 프로젝트 1058형US,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프로젝트 24형
항공모함훈련함 재건조 계획, 프로젝트 71형, 프로젝트 72형, 체펠린노획, 프로젝트 69AV형, 프로젝트 23형 전함 재건조 계획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 C: 전후 완공, 윗첨자 UK/US: 영국/미국 해군에서 도입, 윗첨자 노획: 전쟁 중 노획한 함선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SS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KSS-III Batch-II}
SSM비둘기/갈매기급정·R, 돌고래급R, 참고래나포·R, 범고래급
SSN362사업
항공모함한국형 경항모 계획, {CVX}
아스널쉽{합동화력함}
구축함DDG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DDH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DD충무급R, 충북급R, 대구·인천R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경기·강원R, 충남급R, 경남·아산R, 경북·전남R
호위함FFG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FF울산급
PF두만강급R
초계함PCC동해급R, 포항급
경비함정
(PG, PCS, PC, PCE)
충무공 313·315R, 수성급R, 백두산급R, 노량급R, 거진R, 신성급R
유도탄고속함PKG윤영하급
PGM백구/검독수리급R
PKMM기러기 121·122R
고속정PKM
PKMR
기러기 123R,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PB
SB
FB
PK
올빼미급R
보라매급R
독수리급R
제비급R
PT갈매기급R
상륙함LPH독도급
LST-II (LSD)천왕봉급
LST천안/용화급R, 안동R, 용비급R, 운봉급R, 고준봉급
LSM
LSMR
대초급R
시흥R
상륙정LSF솔개 611R, 거북이 613급정·R, 솔개 621급, 솔개 631급
LCU물개급
LCI
LSSL
서울/천안급R
영흥만급R
기뢰부설함LSML
MLS
풍도·울릉R
원산, 남포
소해함MSC
MHC
MHS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MSH-II}
소해정YMS
JMS
AMS
금강산/강진급R
대전급R
금화급R
군수지원함AOE천지급, 소양급
수상함구조함ARS
ATS
창원·구미R
평택·광양R, 통영·광양
잠수함구조함ASR청해진, {강화도}
훈련함ATH한산도
정보함AGS신천지R, 신세기, 신기원, {AGX-III}
잠수정모함ASL남양정·R, 다도해R
수리함ARL덕수R
수송함AKL부산·인천/제물포R, 원산급R, 군산/천수급R
유조함YO
AO
AOR
구룡R
천지·부전/부천R, 백연/화천R, 청평R
소양·진양R
예인함ATA인왕R, 용문R, 도봉R
전투근무지원정전투정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항만경비정(YUB/HP)
근무지원정숙영지원정(QB)R, 냉동정(RCM)R,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기타단정, 주정고속단정(RIP),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유인기심해구조잠수정(DSRV)
무인기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타기관 함정해양경찰청고속순시정, 고속방탄정, P-정, 해누리급, 해우리급, 태극급, 한강급, 제민급, 태평양급, 삼봉급
육군, 국과연육군경비정, 선진·R, 지심, 미래, 청해
{{{-2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윗첨자: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파일:해상자위대기.sv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잠수함
(SS)
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경비정
(PC)
유리급R, PT9R
구잠정
(PC)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미사일 고속정
(PG)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초계프리깃
(PF)
쿠스급R
다목적 프리깃
(FFM)
모가미급, {신형 FFM}
호위구축함
(DE)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구축함구축함
(DD)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2,500톤급, 하츠유키급R, 아사기리급, 무라사메급, 타카나미급, 아키즈키급, 아사히급
방공구축함
(DDG)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헬기구축함
(DDH)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다용도 운용모함
(DDH)
이즈모급
상륙정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상륙함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기뢰전함소해모함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소해함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소해정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소해관제정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구조함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군수지원함 보급함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급유함하마나R
연료수송함YOT-1급
잠수함모함수중처분모선 1호형
다용도 지원함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정보수집함해양측정함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음향측정함히비키급
쇄빙함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시험함구리하마R, 아스카, {타이게이}
특무정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훈련함 연습함
(TV)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훈련지원함
(ATS)
쿠로베, 텐류
연습잠수함
(TSS)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파일:태국 해군 함수기.svg 현대의 태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S26T급}
초계정T91급R, T93급R, 사따힙급, 토르 991급, 토르 994급, 토르 111급, 촌부리급, T11급, 후아힌급, 램싱급
원양초계함크라비급, 파타니급
미사일 고속정Ratcharit급, Prabrarapak급
초계함방파콩급R, 라타나코신급, 타피급, 캄론신급
호위구축함삔 클라오급
호위함푸미폰 아둔야뎃급, 풋타엿파쭐라록급, 나레수안급, 차오 프라야급,
Makut RajakumarnR, 타친급R
상륙정마싸폰급, Thongkaeo급, 마눅급, 쿳급
상륙함LPD앙통급, 창급
LST시창급
기뢰소해함탈랑급, 랏 야급, 방 라찬급, Bangkeo / Ladya급
군수지원함시밀란급, 추앙급, 마트라급, Proet급, Prong급, Samui급, Jula급
정보수집/연구함Sok, Chan, {Pharuehatsabodi}
경항공모함차크리 나루에벳
기타함톤부리급R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페루 국기.svg 현대의 페루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페레급R, R급R, 아브타오급R, 안가모스급
고속정가디언 리오스R, 두에나스R, 우니온R, 로레토급, 마라뇬급, 클라베로급
초계함벨라르데급, 페레급
원양초계함리오 파티빌카급
호위함테니엔테 갈베즈급R, 카르바할급
호위구축함아귀레급R
구축함빌라급R, 팔라시오스급R, 가르시아 이 가르시아R, 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순양함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알미란테 그라우급R
상륙함LPD피스코급
LST파이타급R, 칼라오급
군수지원함바요바르R, 조리토스R, 탈라라R, 로비토스R, 칼로예라스급, 노구에라급, 타크나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콜롬비아 해군기.png 현대의 콜롬비아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인트레피도급, 피자오급
고속정호세 엔두리크 마르케즈 두란급R, 테네리페급, 마그달레나급, 딜리전트급, 푼타 아르디타급
초계함나리뇨급, 알미란테 토노급
원양초계함데 훌리오급
호위함알미란테 파디야급R, 알미란테 파디야급, {알미란테 파디야급}
호위구축함보야카R, 알미란테 파디야급R, 알미란테 토노급R
구축함데 훌리오급R, 안티오치아급R, 칼다스급R
상륙정바히아 사프주로급, 골포 데 모로스칠로급
군수지원함블라스 데 레조R, 마모날R, 투마코R, 친디오R, 바히아 솔라노R, 카르타게나 데 인디아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멕시코 국기.svg 현대의 멕시코 해군 함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 펼치기 · 접기 ]

초계정테노치티틀란급, 아즈테카급
고속정데모크라타급R, 카보급, 이슬라급, 푼토급, 폴라리스 (II)급, 아쿠아리오 A/B급
미사일 고속정우라칸급
초계함시에라급
원양초계함발레급R, 캘리포니아급R, 코아우일라급R, 우리베급, 홀칭거급, 두랑고급, 오아하카급
호위함캘리포니아급R, 브라운급R, 아옌데급, 레포마도르급
구축함마누엘 아수에타급R, 케찰코아틀급R, 쿠아우테목급R
상륙함LST만사니요, 파팔로아판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벨기에 국기.svg 현대의 벨기에 해상구성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고속정캐스터급
호위함빅터 빌렛R, 빌링겐급R, 레오폴드 1세급, {ASWF}
소해함애드리언 드 제를라슈급R, 반 하버베케급R, 아스테르급, {시티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external/1.bp.blogspot.com/kra_imchin-mandegi2004.jpg
한국 해군 임진함

함종호위함 (PF:Patrol Frigate)
배수량기준1,264 ~ 1,430 t
만재2,227 ~ 2,415 t
길이92.63 m
11.43 m
흘수[1]4.17 m
최고속도20 knots
항속거리9,500 마일 / 12 knots
승무원193 (총원) / 1? (장교)
엔진추진프로펠러 2축
???작은 튜브 3 보일러 x2
??? 스팀 엔진조슈아 헨디 아이언 워크스
수직 3중 팽창 왕복 엔진 x2(5,500 SHP)
레이더대공NRL(미국 해군 연구소) CXBE(SA)
대수상??? SL
사격통제??? Mk.51
소나고정??? QBF 또는 QJA (함수)
무장주포??? MK.22 76mm 50구경장 컴팩트 x3
부포보포스 MK.1 40mm 56구경장 기관포 2연장 컴팩트 x3
오리콘 MK.4 20mm 70구경장 단장포 x9
MK.10 헤치호크 발사기 x1
폭뢰Y형 K-GUN 대잠수함 폭뢰투하대 x8
예비 Mk.9 폭뢰투하대 x2

영어: Tacoma Class Frigate

1. 개요
2. 상세
3. 타국으로 공여
3.1. 한국
3.1.1. 함정 목록
3.2. 일본
3.2.1. 함정 목록
3.3. 기타 국가



1. 개요[편집]


타코마급 호위함은 1943년 부터 미국 서부 워싱턴 주에 있는 타코마시에서 건조되기 시작하였다. 타코마시에서 선박을 제조할 경우 대륙 횡단 철도의 서쪽 종점이며 북쪽에 새롭게 건설된 항구도시 시애틀과도 가까워 선박 재료 수급 및 함정 발주에 용이하였다.


2. 상세[편집]


제 2차 세계대전 중, 대서양 전투에서 넓은 해역을 커버하기 위해선 주력함선 외에도 호위함 세력도 충분한 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한 미 해군에서, 영국에서 만들어진 리버급 호위함을 2척 넘겨받아 운용하기 시작했는데, 급한데로 받긴 했지만 문제점도 많은 배였기 때문에[2] 결국 이 리버급(미국내 함선명은 애쉬빌급)을 전면 재설계해서 탄생한 것이 이 타코마급 호위함이다.[3]

오리지널인 리버급 자체가 상선 선체를 이용해 만든 호위함이다 보니 일반 조선소에서도 쉽게 건조가 가능했고, 실제로 건조된 대부분이 여러 민간 조선소에서[4] 만들어져 총 96척이 취역(원래 100척을 주문했지만 4척은 취소)했다.

기본적으로 미 해군에서 사용하는 엔진(주로 증기터빈 아니면 디젤)과는 다른 왕복식 증기엔진(직렬 3단 팽창식 증기기관)을 사용했기에 운용상의 문제를 들어[5] 대부분 미 해안경비대에서 운용했으며, 이 중 21척이 영국으로 공여되어 콜로니급으로 재명명되어 사용되었고, 랜드리스를 통해 소련에도 28척이 공여되었다.


3. 타국으로 공여[편집]



3.1. 한국[편집]


한국에서 부르는 명칭은 두만급 호위함.

1950년 미군 장교인 엘런 스미스 제95 기동부대 사령관이 UN국제엽합해군의 해상봉쇄와 호송임무를 수행하기에는 한반도의 해역을 가장 잘아는 한국해군이 필요하고 그에따라 전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그에따라 1950년 10월 23일에 일본 요코스카항에 정박해있던 PF급 호위함 두척을 한국에 첫 도입되고 1970년대 말쯤 마지막으로 퇴역하여 해체된다.

전쟁 기간 동안 총 5척을 인수받았는데 이 군함들에는 독특한 이력이 있다. 이 함선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소련에 렌드리스 무기대여법으로 대여된 30척의 함정들 중 일부로, 2차 대전이 종료되고 27척을 돌려받았는데 미국까지 끌고 가느라 돈을 쓸 바에는 그냥 한국에 공여하는 게 낫겠다 싶어 넘겨준 것.[6] 처음 받은 함정은 PF-48, 49함으로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되면서 61함, 62함으로 이름이 바뀌고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1000톤 이상의 전투함이 됐다. 참고로 이 타코마급 호위함은 전쟁 발발전 손원일 제독이 돈주고 산다고 했는데도 미국이 안 판다고 했던 전투함이다. 원래 손 제독은 백두산함 구입 이후 샌프란시스코의 통칭 배무덤이라고 불리던 곳에서 퇴역하여 다른 나라에 팔리던 전투함들중 이 함선을 백두산함 구입 이후 남은 4만 달러로 구입하려 했다. 하지만 미국이 PF함을 한국에는 팔지 않겠다고 해서 대신 PC급 구잠함 3척을 구입한 것.

그리고 6.25 때 이 군함들을 미국에게서 빌려 쓰다가 1970년대 초쯤에 돈을 주고 산다.[7]

그중 압록(PF-62)함은 1951년 4월 5일 신미도 해역에서 추락한 소련제 MiG-15 전투기를 인수해오라는 지시로 소해정들을 이끌고 인수하러 갔다. 그런데 북한 공군 Yak-9 4대로 구성된 1개 편대가 접근해오면서 처음으로 함대공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 압록함 승무원들은 물론 대한민국 해군 자체가 당시 함대공 전투를 경험한 적도 없고 대공무기 또한 변변치 못해 불리한 싸움이었다. 거기다 동행한 소해정들은 적 공군기에 대해 대응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하지만 이 불리한 상황 속에서 압록함은 뜻밖의 결과를 냈다. Yak 전투기가 폭탄을 떨어트리고 다시 상승할 때를 노려 압록함에서 포를 발사하자 그로 인해 1대가 격추되고 1대가 큰 손상을 입어 Yak 전투기 편대는 후퇴하였다. 이때 압록함은 8명의 부상자와 선체에 약간의 균열이 간 게 피해의 전부였다. 처음 겪은 함대공 전투에서 심각한 부상자도 없고 사망자도 없었으며 함선에 큰 피해도 없는 상태로 1기 격추에 1기 손상이라는 전과를 거둔 것은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미그 전투기를 예인해오는 건 두만함이 대신 맡았고 미그 전투기까지 가져오자 미국은 한국해군의 실력을 인정하고 네임쉽인 PF-3 Tacoma와 PF-5 Hiquiam을 추가로 원조해주었다. 한국해군에 편입되면서 Tacoma는 PF-63 대동함으로, Hoquiam은 PF-65 낙동함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당시 미국은 한국해군의 실력을 낮게 평가하여 압록함과 두만함 인수 후 PF함의 추가지원을 미루고 있었는데 이때의 전과를 계기로 PF급을 추가 지원했다.

하시만 좋은 소식만 있는 것은 아니었는데, PF-62 압록함은 1952년 5월 21일 미국의 AO-3급 보급수송함을 호위하다가 통신착오로 인해 해당 함과 충돌하고 말았다. 다행히 침몰은 면했지만 이 사고로 21명이 전사했고 10명이 부상당했으며 압록함은 복구할 수 없는 상처를 입었다. 다행히 미해군 구조예인함 ATF-105 USS Moctobi 함에 구조되어 부산항으로 옮겨졌지만 복구 불가능한 상태였던 압록함은 미군에게 반환되어 표적연습함으로 파괴되었다. 이후 한국해군은 마지막함인 PF-4 Sausalit 함을 인수해 PF-66 임진함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호위함들에는 독특한 점이 있는데, 미해군에서 운용했을 때는 대동함이나 낙동함같이 일찍 만들어진 배들이 함번을 빨리 받았으나 한국해군에서는 한국에 도입된 시기에 맞춰 함명을 부여했기 때문에 미해군의 도입시기와 관련없이 함번은 우리나라에 맞춰 불렀다.

총 5척의 PF함 중 두 척은 공짜로 원조되고 1척은 미군이 표적함으로 격침시켰으며 두척은 전쟁이 끝난 뒤 구매했다.

압록(PF-62)함은 1973년 2월 28일 미국으로 돌려보내졌다가 1973년 4월 2일에 기증되었는데 연습선으로 쓰이다가 퇴역된다.


3.1.1. 함정 목록[편집]


한국명미국명도입 날짜
PF-61 두만함PF-49 Muskogee(머스코기)1950/10/23
PF-62 압록함PF-48 Rockford(록퍼드)1950/10/23
PF-63 대동함PF-3 Tacoma(타코마)1951/10/09
PF-65 낙동함PF-5 Hoquiam(호퀴엄)1951/10/05
PF-66 임진함PF-4 Sausalit(사우살릿)1952/09/04


3.2. 일본[편집]


1953년에 소련에서 반환된 배들 중 18척의 타코마급이 일본 해상자위대에 대여되었다.

일본명은 くす型護衛艦(쿠스급 호위함).


3.2.1. 함정 목록[편집]


함명(미국명)도입년도반환년도
PF-281 쿠스(PF-39 오그던)19531977
PF-282 나라(PF-53 마키어즈)1971
PF-283 카시(PF-6 파스코)1968
PF-284 모미(PF-26 포킵시)1971
PF-285 스기(PF-38 코로나도)
PF-286 마츠(PF-25 샬러츠빌)
PF-287 니레(PF-54 선더스키)1977
PF-288 카야(PF-37 산 페드로)1978
PF-289 우메(PF-52 알렌타운)1971
PF-290 사쿠라(PF-50 카슨 시티)
PF-291 키리(PF-8 에버렛)1976
PF-292 츠게(PF-22 글로스터)1969
PF-293 카에데(PF-27 뉴포트)1975
PF-294 부나(PF-21 베이온)1967
PF-295 케야키(PF-70 에반스빌)1976
PF-296 토치(PF-7 앨버커키)1971
PF-297 시이(PF-34 롱 비치)
PF-298 마키(PF-55 바스)


3.3. 기타 국가[편집]


아르헨티나, 벨기에, 프랑스,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쿠바, 콜롬비아, 멕시코, 네덜란드, 페루, 태국등에 공여되었다. 특히 소련에 공여되었다 반환된 함선들은 거의 대부분 타국행 루트를 탔다.[8]

[1] 수면아래 잠기는 부분[2] 결정적으로, 미해군에 넘겨진 배는 캐나다에서 건조된 물건이었다. 덕분에 원 제조국인 영국제, 건조국인 캐나다제, 실 사용국인 미국제 장비들이 혼합된 형태라 운용 및 정비에 애로사항이 꽃폈다고 한다(...)[3] 추가 도입하려던 리버급은 도입 취소해서 결국 영국군이 대신 도입해 운용했다고 한다.[4] 미국 위키피디아 자료에 의하면, 건조에 참여한 조선소만 9개나 되며, 지역도 오하이오, 캘리포니아, 밀워키, 위스콘신, 로드 아일랜드 등 여러 지역에 퍼져있다[5] 왕복식 증기엔진은 힘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구조적으로 고속을 내는데는 굉장히 불리하다. 위의 재원에 나와있듯이 최고 속도가 20노트에 불과하다. 선단호위 같은 임무에 사용이 아주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준은 아니지만 사용하기 불편한 것은 사실이고 이것말고 사용할 함정이 없었다면 이거라도 선단호위에 써야 했겠지만 미국에는 호위구축함이라는 호송선단의 호위에 딱 맞는 함정이 우글우글했다.[6] 당시 미국은 PF함 이상의 구축함, 순양함, 항공모함까지 퇴역시켜 연습표적으로 삼거나 폐선처리했다. 그러니 그보다 아래인 PF함들을 공짜로 넘겨준 것.[7] 대동(PF-63)함, 압록(PF-62)함은 제외.[8] 반환식 자체는 일본에서 이루어졌는데, 일본에서 미국까지 끌고오는데 돈 들이느니 그냥 공여 형식으로 그 자리에서 넘겨버리게 된 것. 아예 운송비가 들지 않는 일본이 28척 중 18척이나 받게 된 것도 이런 이유가 크다고.